본문 바로가기
성공.자기계발

[두번째 이야기] 시간은 어떻게 돈이 되었는가? 시간관리의 중요성

by 성그 2023. 12. 6.

 

 

시간은 어떻게 돈이 되었는가?:마르크스 경제학으로 본 자본주의 사회의 시간 싸움 - 국내도서 |

쿠팡에서 시간은 어떻게 돈이 되었는가?:마르크스 경제학으로 본 자본주의 사회의 시간 싸움 구매하고 더 많은 혜택을 받으세요! 지금 할인중인 다른 국내도서 제품도 바로 쿠팡에서 확인할 수

www.coupang.com

 

[첫번째 이야기] 시간은 어떻게 돈이 되었는가? 학교 정규 수업에 관하여

 

시간은 어떻게 돈이 되었는가? 마르크스 경제학으로 본 자본주의 사회의 시간 싸움

- 학교 정규 수업이 있는 이유 나는 성인이 된 후 학교 정규 수업이 왜 있는지 이해하지 못했다. 오히려 학생 때의 시간을 학교가 뺏어가는 느낌이었다. 학교 다닐 때 배웠던 교과목이 성인되어

5ucess-l0g.tistory.com

 

 

이 책은 난이도가 있다. 마르크스 경제학은 이름만 들어도 머리가 지끈지끈해지는 용어이다. 때문에 한번도 읽어본 적이 없었는데 제목에 이끌려서 책을 보게 되었다. SNS은 사람들의 관심과 시간을 이용해 돈을 번다. 나는 회사와 계약하여 정해진 시간동안 일을 하여 돈을 번다. 어느새부터인가 시간은 돈이 되었다. 그러면 언제부터 시간과 돈이 서로 연관된 걸까? 이유를 알게 되면 내가 정신을 바짝차리고 시간 관리를 잘 하게 되지 않을까 싶어서 읽어보았다.

호기심에 책을 들어보았지만 술술 읽히진 않았다. 마르크스만 들어도 머리가 아픈데 경제까지 같이 껴있어서 이해하는데 어려웠다. 거기다가 몰랐던 용어까지 불쑥 튀어나왔다. 50페이지당 3~4개 정도 모르는 단어가 나왔다. 하지만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이해할 때마다 카타르시스가 왔다. 그래서 놓지 않고 읽었던 것 같다.

이 책은 시간이 어떻게 돈이 되었는지 논리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여태껏 '느낌'으로만 알던 개념들이 정리되는 느낌을 받았다. 그만큼 잘 짜여져있었다. 그리고 당연하다고 느끼는 것들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할 수 있었다. 그러면 시간은 어떻게 돈이 되었을까? 나의 경우를 한번 말해보겠다. 내가 '시간'이 많은 대학생이었을 때 '돈'이 없어서 취직을 꿈꿨다. 그렇게 졸업하고 직장에 다니기 시작했다. 직장은 정해진 시간동안 업무를 하면 정해진 월급을 줬다. 그렇게 돈은 없고 '시간'이 많던 대학생에서 돈은 좀 여유롭지만 '시간'이 없는 직장인으로 변했다. 이 돈은 "현재"의 시간과 바꾼 것이고, "미래"의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저축을 했다. 하지만 월급의 돈은 한정적이고, 이 중 일부를 저축한다고 해도 제대로 여유 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은 60대가 되어서야일 것 같았다. 나는 "미래"를 위해 회사의 계약으로 "현재" 시간을 "돈"으로 바꾸고 있다. 그렇게 모은 돈 일부는 "미래"를 위해 저축한다. 하지만 찔끔 모아서는 쳇바퀴처럼 일을 반복해야 할 것이다.

이때 "흥부와 놀부" 예시를 읽었다. 예시를 통해 시간관리의 중요성을 새삼 깨달았다. 이 책에선 다른 이유 때문에 흥부와 놀부 예시가 등장하지만, 나는 다르게 해석해서 마음속에 새겼다. 무슨 예시냐고? 얘기해보겠다. 흥부와 놀부가 있다고 가정해보자. 이들의 재산은 똑같이 쌀 1가마가 있으며,  먹고 살기 위해 쌀 1가마가 필요하다. 쌀을 얻는 방법으로  2가지 가 있다. 기술1은 노동 1일과 쌀 1가마를 들이면 쌀 2가마가 나온다. 기술2는 노동 3일을 하면 쌀 1가마를 준다. 흥부는 일주일에 5일을, 놀부는 일주일에 3일을 일하고 싶어하며, 그렇게 일했다. 처음에는 쌀의 갯수가 별 차이 없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차이가 벌어져 나중에는 흥부가 직접 하지 않고, 놀부를 고용하여 쌀을 얻을 수 있다. 책에서는 연산을 통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으므로 궁금하면 책을 참고해보자.
이 예시에서 흥부가 나와 일부 닮아있다는 걸 알았다. 흥부와 나는 "미래"를 위해 "현재" 시간을 할애했다. 하지만 흥부는 다양한 방법을 사용했다. 흥부가 만약 자신의 시간만 갈아넣는 기술2 만을 고집했다면 놀부와 산술급수적으로 차이가 벌어지진 않을 것이다. 이 부분에서 흥부와 나와 다름을 느꼈으며, 자원 활용의 중요성을 느꼈다. 그리고 하나, 흥부는 5일동안 일했지만 놀부는 3일동안 일했다. 그 결과 쌀을 얻는 차이가 달라졌다. 만약 흥부도 똑같이 3일동안 일했다면 둘이 비슷했을 것이다. 이 부분에선 시간관리의 중요성을 느꼈다.

나는 멀지 않은 미래에 여유롭게 내가 하고 싶은 걸 하며 살고 싶다. 이러기 위해선 흥부와 같은 자세가 필요하다. 현재 시간을 할애하여 돈을 범으로써 미래 여유시간 확보하는 일에 투자하고, 다른 방법으로 돈을 벌 수 있는지 루트를 찾아야 한다. 지금은 잘 보이지 않을지라도 시간이 지나면 눈에 띄게 차이날 것이다.

이 외에도 많은 내용을 다루고 있다. 오늘은 책을 읽고 느낌 감정에 대해 단순히 적어보았다. 시간 관리가 중요한지를 간접적으로 느낄 수 있었고, 책을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다.

오늘의 결론 : 격차가 벌어질 수도 있다. 시간관리를 제대로 하자.

 

<책 구매 링크>

 

시간은 어떻게 돈이 되었는가?:마르크스 경제학으로 본 자본주의 사회의 시간 싸움 - 국내도서 |

쿠팡에서 시간은 어떻게 돈이 되었는가?:마르크스 경제학으로 본 자본주의 사회의 시간 싸움 구매하고 더 많은 혜택을 받으세요! 지금 할인중인 다른 국내도서 제품도 바로 쿠팡에서 확인할 수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